본문 바로가기

깃허브 커밋 푸시까지 기초 사용법

사실대로 2025. 9. 3.
반응형

깃허브(GitHub)는 전 세계 개발자들이 협업하는 가장 큰 플랫폼이에요.

하지만 처음 사용하는 분들은 “커밋? 푸시? 그게 뭐야?” 하면서 막막할 수 있어요.

사실 알고 보면 단계는 단순합니다.

 

코드를 수정 → 커밋(commit)으로 저장 → 푸시(push)로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가 기본 흐름이에요.

 

이 글에서는 깃허브를 처음 접하는 분들을 위해, 설치부터 커밋·푸시까지 실습처럼 따라 할 수 있게 준비했어요.

실제 설치법과 세부 특징, 그리고 제가 직접 경험한 후기도 함께 담았습니다.

깃허브 커밋 푸시까지 기초 사용법

깃허브 기본 흐름 요약

  • Git 설치 → 로컬 저장소 생성
  • 파일 수정 후 commit으로 저장
  • push로 깃허브 원격 저장소 업로드
  • 협업 시 pullbranch도 함께 활용

Git 설치와 준비

깃허브를 쓰려면 먼저 Git을 설치해야 해요. Git은 소스코드 버전 관리 도구로, 깃허브는 이 Git을 기반으로 협업 기능을 제공합니다.

설치 방법

  • Windows: git-scm 공식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후 설치
  • macOS: 터미널에서 brew install git 입력
  • Linux: sudo apt-get install git 실행

설치 후 git --version 명령어를 입력하면 설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요. (예: git version 2.44.0)

세부 특징

  • Git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이라 인터넷이 없어도 로컬에서 작업 가능
  • 모든 변경 이력을 남기기 때문에 실수해도 되돌릴 수 있음
  • 오픈소스 프로젝트 대부분이 Git 기반으로 운영됨

실제 후기

“저는 Git을 설치하고 처음엔 명령어가 어렵게 느껴졌어요. 하지만 ‘add → commit → push’ 패턴만 익히니까 훨씬 단순하게 다가왔습니다.”

저장소 만들기

깃허브 웹사이트에서 저장소(repository)를 생성해야 합니다. 이 저장소가 프로젝트의 원격 저장소가 돼요.

생성 방법

  1. 깃허브 로그인 후 New Repository 클릭
  2. 저장소 이름 입력 (예: my-first-repo)
  3. Public/Private 설정 선택
  4. README 초기화 여부 체크 가능

세부 특징

  • Public 저장소는 누구나 볼 수 있음
  • Private 저장소는 팀원만 접근 가능
  • README 파일은 프로젝트 소개 역할

실제 후기

“저는 첫 프로젝트를 public으로 만들었는데, 외국 개발자가 스타(⭐)를 눌러준 경험이 있어요. 작은 피드백이지만 큰 동기부여가 됐습니다.”

 

GitHub Pages로 무료 웹사이트 만들기

 

GitHub Pages로 무료 웹사이트 만들기

GitHub Pages는 깃허브(GitHub)에서 제공하는 무료 정적 웹 호스팅 서비스예요. 따로 서버를 구매하거나 호스팅 요금을 낼 필요 없이,깃허브 저장소에 올린 HTML·CSS·JS 파일을 곧바로 웹사이트로 배포

apt.sunrisefs.co.kr

커밋(Commit) 이해하기

커밋은 프로젝트의 특정 시점 상태를 저장하는 행위예요. ‘사진을 찍듯이 기록한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사용법

git add .
git commit -m "첫 번째 커밋 메시지"

세부 특징

  • git add는 변경된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올림
  • git commit은 메시지와 함께 저장
  • 커밋 메시지는 협업 시 의사소통 수단이 됨

실제 후기

“처음엔 커밋 메시지를 대충 썼는데, 팀 프로젝트에서 ‘무슨 수정인지 모르겠다’는 얘기를 들었어요. 그때부터 메시지를 ‘Fix login bug’처럼 구체적으로 쓰게 됐습니다.”

푸시(Push)로 업로드

푸시는 로컬 커밋을 원격 저장소에 올리는 작업이에요. 깃허브에 올려야 다른 팀원도 변경 사항을 볼 수 있습니다.

사용법

git push origin main

세부 특징

  • origin은 원격 저장소 이름
  • main은 기본 브랜치 이름
  • 처음에는 git remote add로 원격 저장소를 등록해야 함

실제 후기

“처음엔 푸시가 잘 안 돼서 당황했는데, 알고 보니 원격 저장소랑 연결을 안 해놨던 거였어요. remote 설정만 하면 문제없이 됐습니다.”

단계 명령어 의미
1. 파일 생성 touch index.html 새 파일 만들기
2. 스테이징 git add . 변경 파일 올리기
3. 커밋 git commit -m "메시지" 변경 사항 기록
4. 푸시 git push origin main 깃허브에 업로드

제가 직접 써본 팁

  • 처음엔 Git GUI 클라이언트(SourceTree, GitHub Desktop)로 시작해보세요.
  • 커밋 메시지는 영어·한국어 상관없이 구체적으로!
  • 실수해도 git log, git reset으로 되돌릴 수 있어요.

깃허브 README.md 작성법 핵심 포인트

 

깃허브 README.md 작성법 핵심 포인트

깃허브 README.md는 단순한 소개 문서가 아니라 프로젝트의 얼굴이에요.사용자가 저장소에 들어왔을 때 가장 먼저 보게 되는 공간이기 때문에,프로젝트 신뢰도와 완성도를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

apt.sunrisefs.co.kr

FAQ

Q. commit과 push 차이가 뭔가요?

commit은 로컬 저장, push는 원격 저장소 업로드예요.

Q. commit 메시지는 꼭 영어로 써야 하나요?

아니요. 팀 규칙에 따라 다르지만, 영어로 쓰면 협업 시 글로벌 표준에 맞습니다.

Q. push가 안 될 때 원인?

원격 저장소 미연결, 권한 문제, 또는 브랜치 이름 불일치가 흔한 이유예요.

Q. GitHub Desktop을 써도 되나요?

네. 명령어 대신 GUI 환경에서 commit, push가 가능해요.

Q. commit 기록을 수정할 수 있나요?

git commit --amend로 바로 전 커밋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