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허브 초보자가 자주 묻는 질문 TOP 5
코딩을 시작하는 모든 개발자에게 '깃허브(GitHub)'는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개인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다른 사람들과 협업하며, 포트폴리오를 만들 수 있는 강력한 플랫폼이죠.
하지만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는 용어부터 개념까지 모든 것이 낯설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깃허브를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들이 가장 많이 궁금해하는 질문 5가지를 선정하여,
명확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이 글을 통해 깃허브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떨쳐내고, 즐겁게 코딩의 세계를 탐험하시길 바랍니다!
깃허브 초보자 필수 FAQ
- Q1. 깃(Git)과 깃허브(GitHub)의 차이가 뭐죠?
- Q2. '커밋(Commit)'은 정확히 어떤 의미인가요?
- Q3. '풀(Pull)'과 '푸시(Push)'는 언제 사용하는 건가요?
- Q4. 내 프로젝트를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Q5. 깃허브를 포트폴리오로 활용하는 방법은?
Q1. 깃(Git)과 깃허브(GitHub)의 차이가 뭐죠?
깃허브 초보자들이 가장 먼저 혼동하는 개념입니다. 간단하게 비유하자면,
'깃(Git)'은 일기장이고, '깃허브(GitHub)'는 그 일기장을 보관하는 서랍장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 깃(Git): 컴퓨터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코드를 작성하면서 수정된 내용을 기록하고, 언제든 이전 상태로 되돌릴 수 있게 해주는 '도구' 역할을 합니다. 즉, 내 컴퓨터에서 일어나는 코드 변경 이력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죠.
✔️ 깃허브(GitHub): 깃으로 관리한 프로젝트를 '저장하는 원격 저장소'입니다. 인터넷이 연결된 서버에 프로젝트를 올리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며 협업할 수 있는 '서비스' 또는 '플랫폼'입니다. 내 컴퓨터가 아닌 온라인에 저장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고, 프로젝트를 백업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요약: 깃은 내 컴퓨터에서 코드를 관리하는 '기술'이고, 깃허브는 그 코드를 온라인에 올리고 협업하는 '서비스'입니다.
Q2. '커밋(Commit)'은 정확히 어떤 의미인가요?
'커밋(Commit)'은 깃허브의 핵심 기능 중 하나입니다. 코딩 작업을 하다가 특정 시점에 변경된 내용을 저장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마치 일기를 쓸 때 '오늘의 기록'을 남기는 것과 비슷하죠.
커밋을 할 때는 반드시 '커밋 메시지'를 함께 작성해야 합니다. 이 메시지는 "오늘 무엇을 수정했는지"를 설명하는 내용으로, 나중에 프로젝트 이력을 보거나 다른 사람과 협업할 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시:
좋은 커밋 메시지: "회원가입 기능 추가 (유효성 검사 로직 보강)"
나쁜 커밋 메시지: "수정", "오늘 작업 끝", "ㅠㅠㅠ"
커밋 메시지는 미래의 나 자신과 협업하는 동료를 위한 중요한 기록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커밋 메시지를 잘 작성하는 것만으로도 좋은 개발 습관을 만들 수 있습니다.
VS Code 확장기능 추천 리스트 최신 정리
Visual Studio Code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코드 에디터 중 하나예요. 2025년 현재, VS Code 마켓플레이스에는 5만 개 이상의 확장기능이 등록되어 있는데요,초보자부터 숙련 개발자까지 어떤
apt.sunrisefs.co.kr
Q3. '풀(Pull)'과 '푸시(Push)'는 언제 사용하는 건가요?
깃허브는 원격 저장소에 있는 코드와 내 컴퓨터에 있는 코드를 동기화하기 위해 '풀(Pull)'과 '푸시(Push)'라는 두 가지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 푸시(Push): '내 컴퓨터의 코드를 원격 저장소(깃허브)로 올리는 행위'입니다. 내 컴퓨터에서 커밋한 내용을 깃허브에 반영할 때 사용합니다. 마치 완성된 일기를 서랍장에 넣는 것과 같습니다.
✔️ 풀(Pull): '원격 저장소(깃허브)의 코드를 내 컴퓨터로 가져오는 행위'입니다. 다른 사람이 원격 저장소에 올린 최신 코드를 내 컴퓨터에 다운로드할 때 사용합니다. 협업 시 필수적인 명령어이며,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항상 '풀'을 통해 최신 상태를 유지해야 충돌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요약: 내가 깃허브에 올릴 땐 '푸시', 깃허브에서 최신 코드를 가져올 땐 '풀'을 사용합니다.
Q4. 내 프로젝트를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깃허브에 올린 프로젝트를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기 위해서는 '링크'를 공유하거나 '리드미(README.md) 파일'을 잘 작성해야 합니다.
✔️ 링크 공유: 가장 간단한 방법입니다. 깃허브 프로젝트 페이지의 주소(URL)를 복사하여 공유하면 됩니다. 하지만 이 방법만으로는 프로젝트의 내용이 한눈에 파악되지 않습니다.
✔️ 리드미(README.md) 파일: 깃허브 프로젝트의 얼굴과 같은 파일입니다. 프로젝트의 목적, 사용 방법, 설치 방법, 기술 스택 등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깃허브 페이지에 접속하면 가장 먼저 보이는 파일이므로, 반드시 잘 작성해야 합니다.
리드미 파일은 마크다운(Markdown) 문법으로 작성되므로, 간단한 문법만 익히면 누구나 보기 좋게 만들 수 있습니다.
깃허브 커밋 푸시까지 기초 사용법
깃허브(GitHub)는 전 세계 개발자들이 협업하는 가장 큰 플랫폼이에요.하지만 처음 사용하는 분들은 “커밋? 푸시? 그게 뭐야?” 하면서 막막할 수 있어요.사실 알고 보면 단계는 단순합니다. 코드
apt.sunrisefs.co.kr
Q5. 깃허브를 포트폴리오로 활용하는 방법은?
깃허브는 개발자에게 있어 '살아있는 이력서'와 같습니다. 단순히 프로젝트를 저장하는 공간을 넘어, 나의 코딩 실력과 성장 과정을 보여주는 강력한 포트폴리오가 될 수 있습니다.
포트폴리오로 활용하기 위한 팁
1. 꾸준한 커밋: 매일 꾸준히 커밋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커밋 잔디(기여 그래프)는 나의 성실함과 꾸준함을 보여주는 좋은 지표입니다.
2. 잘 정리된 리포지토리: 프로젝트별로 리포지토리를 만들고, 각각의 리포지토리에 잘 정리된 리드미 파일을 추가하세요. 프로젝트의 핵심 기능, 사용한 기술, 배운 점 등을 상세하게 기록하면 좋습니다.
3. 깃허브 프로필 꾸미기: 깃허브 프로필 페이지를 나만의 개성 있는 공간으로 꾸며보세요. 자기소개, 기술 스택, 연락처 등을 보기 좋게 정리하면 좋습니다.
4. 오픈소스 기여: 다른 사람의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버그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등 작은 기여라도 괜찮습니다. 이는 협업 능력을 보여주는 좋은 지표가 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리캔버스 투명 배경 설정법과 저장 방법 (0) | 2025.09.04 |
---|---|
Visual Studio Code 오류 해결방법 팁 (0) | 2025.09.03 |
VS Code 확장기능 추천 리스트 최신 정리 (0) | 2025.09.03 |
깃허브 커밋 푸시까지 기초 사용법 (0) | 2025.09.03 |
Visual Studio Code 테마 추천 5가지 (0) | 2025.09.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