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서브도메인 등록 방법과 팁
티스토리 블로그는 사용자 소유 도메인의 서브도메인을 연결해 운영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 제공업체에서 CNAME 설정을 통해 티스토리 도메인에 연결하는 방식이며, 인증 절차를 거쳐야 접속이 정상적으로 작동됩니다.
도메인은 있는데 블로그 주소를 어떻게 붙여야 할지 막막한 분들이 많습니다.
- 서브도메인은 도메인 업체에서 CNAME 설정으로 연결
- 티스토리 관리자 메뉴에서 도메인 인증 절차 필요
- SSL 적용까지 최대 24시간 소요될 수 있음
1. 티스토리에서 서브도메인 등록하려면?
1) 티스토리 관리자 설정 메뉴 진입
티스토리 블로그에 로그인한 뒤 관리 → 블로그 → 블로그 정보 메뉴로 이동합니다. ‘2차 주소 설정’ 항목이 있으며, 여기에 서브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면 됩니다.
2) 내 도메인의 서브도메인 주소 입력
예를 들어 내 도메인이 mydomain.com이라면, 서브도메인으로 blog.mydomain.com 같은 형식으로 입력합니다. 이 주소는 도메인 업체에서 먼저 DNS 설정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3) 입력 후 도메인 인증 요청
티스토리에서 입력을 완료하면 ‘도메인 인증’ 단계로 넘어갑니다. 이때 지정된 CNAME 값을 도메인 설정에 등록해야 인증이 진행됩니다. 해당 값은 티스토리에서 자동으로 안내됩니다.
2. 도메인 업체에서 DNS 설정하는 법
1) 호스팅케이알/가비아/카페24 등 DNS 접속
보유 중인 도메인 관리 콘솔로 이동합니다. 도메인 별로 DNS 관리 → 레코드 설정 또는 ‘도메인 설정 관리’ 등의 메뉴가 있으며, 여기서 서브도메인 연결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2) CNAME 레코드 추가
blog.mydomain.com → blog.tistory.com 형태로 CNAME 레코드를 등록합니다. TTL은 기본값(3600초 등)으로 두고, 별도 IP 주소가 아닌 blog.tistory.com을 '대상값'으로 입력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3) 등록 후 적용 대기
DNS 설정은 전파까지 최대 24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수 분 내에 반영되지만, 도메인 업체나 네임서버에 따라 지연될 수 있습니다. 이 시점에서 티스토리에서 다시 인증을 시도하면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연결 완료 후 확인할 점은?
1) HTTPS 자동 적용 여부 확인
티스토리는 Let's Encrypt SSL 인증서를 자동 발급해 https 연결을 지원합니다. 다만 일부 서브도메인은 적용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최대 24시간 이내 적용됩니다.
2) 모바일 접속 테스트
도메인 연결 후 PC에서는 잘 열리지만, 모바일에서는 404 오류가 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때는 티스토리 관리자에서 ‘모바일 웹 자동 연결’ 항목을 꺼두고 다시 확인해야 해결됩니다.
3) 구글 서치 콘솔에 등록 권장
서브도메인 연결 후에는 구글 서치 콘솔에도 새 주소를 등록해야 SEO에 불이익이 없습니다. 기존 주소와는 별개의 웹사이트로 간주되므로 새롭게 소유권 인증이 필요합니다.
작업 단계 | 필요 작업 | 주요 유의점 |
---|---|---|
1. 티스토리 설정 | 2차 주소 입력 및 인증 요청 | CNAME 대상값 확인 필수 |
2. 도메인 DNS 설정 | CNAME 레코드 등록 | TTL 설정은 기본값 유지 |
3. 인증 확인 | 티스토리에서 인증 다시 시도 | DNS 전파까지 대기 필요 |
4. SSL 자동 적용 | HTTPS 연결 확인 | 일시적 지연 가능 |
어도비 구독 해지하는 방법과 팁
어도비 구독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간단히 해지할 수 있습니다. 해지 요청은 언제든 가능하지만, 남은 약정 기간이나 조기 해지 시 위약금이 발생할 수 있어 조건 확인이 필요합니다.
apt.sunrisefs.co.kr
4. 서브도메인 연결에 실패하는 주요 원인은?
1) CNAME 설정 누락 또는 오기
티스토리와의 연결 오류는 대부분 CNAME 값을 잘못 입력하거나, 서브도메인 앞에 공백이 들어가는 단순 실수에서 발생합니다. 도메인 등록업체의 설정 화면에서 대상 주소가 정확히 blog.tistory.com인지 다시 확인해 보세요.
2) DNS 전파 시간 무시
“왜 안 돼요?”라고 바로 인증을 시도하는 사용자들이 많습니다. DNS 전파는 보통 5분~24시간 걸리며, 이 시간을 기다리지 않고 인증을 계속 시도하면 ‘설정되지 않은 주소’ 오류가 나올 수 있습니다.
3) 네임서버와 DNS가 분리된 경우
도메인을 등록한 업체와 DNS를 관리하는 네임서버 업체가 다를 경우 설정 반영이 안 될 수 있습니다. 이때는 실제 네임서버 위치(예: Cloudflare 등)에서 CNAME을 수정해야 합니다.
5. 추천하는 티스토리 도메인 운영 팁
1) 블로그 콘셉트에 맞는 서브도메인 활용
예: 포트폴리오용 → portfolio.mydomain.com, 리뷰 블로그 → review.mydomain.com. 짧고 기억하기 쉬운 서브도메인을 활용하면 SEO는 물론, 사용자 인식에도 유리합니다.
2) 메인 도메인과 리디렉션 분리
서브도메인은 본래 도메인과 별개로 인식되므로 메인 도메인에 다른 웹사이트를 운영하거나, 리디렉션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예: mydomain.com → 개인 홈페이지, blog.mydomain.com → 티스토리 블로그
3) 웹방문자 통계도 별도 관리
서브도메인을 사용하는 경우 구글 애널리틱스나 서치콘솔도 별도로 등록해야 정확한 방문자 분석이 가능합니다. 특히 광고 수익을 고려한다면 별도 트래픽 측정은 필수입니다.
- 도메인 DNS 설정 전 티스토리에서 인증 정보 확인 필수
- DNS 전파 완료 후 인증 진행
- 모바일/PC 환경 모두에서 주소 연결 확인
상황 | 문제 원인 | 해결 팁 |
---|---|---|
연결 실패 | CNAME 오기 또는 전파 미완료 | 입력값 재확인 후 24시간 대기 |
SSL 적용 안 됨 | 전파 후 자동 인증 지연 | 24시간 이내 재시도 |
모바일 접속 불가 | 모바일 자동연결 설정 문제 | 모바일 자동 연결 끄기 |
주거 장학금 240만원 신청 방법 총정리
주거 장학금은 최대 240만원까지 학기당 지원됩니다. 교육부와 한국장학재단은 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대학생의 주거 안정을 위해, 소득 수준과 실제 거주 형태를 기준으로 선발하며 매년 두 차
apt.sunrisefs.co.kr
6. 이런 분들에게 서브도메인 등록이 유리합니다
1) 기존 도메인을 다양한 용도로 나누고 싶은 경우
기업이나 단체가 하나의 도메인으로 블로그·메인사이트·문의페이지 등 분리 운영하려면 서브도메인이 최적의 선택입니다. SEO에도 유리하고, 브랜드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블로그를 개인 도메인처럼 운영하고 싶은 경우
티스토리의 기본 주소는 blog.tistory.com 형식이지만, 서브도메인을 연결하면 개인 도메인처럼 깔끔하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방문자 신뢰도 확보에도 도움이 됩니다.
3) 추후 워드프레스 등 이전을 고려하는 사용자
서브도메인 기반 운영은 나중에 블로그 플랫폼 이전 시에도 주소 유지가 쉬워 장기적인 콘텐츠 자산 관리에 유리합니다. 검색 순위나 외부 링크 손실도 줄일 수 있습니다.
7. 자주 묻는 질문
- Q. 서브도메인 연결에 비용이 발생하나요?
- 아니요. 도메인을 이미 보유하고 있다면, 티스토리 서브도메인 연결은 무료입니다.
- Q. 루트 도메인(mydomain.com)도 연결 가능한가요?
- 현재 티스토리는 CNAME 방식만 지원하므로, 루트 도메인 연결은 불가능하며 서브도메인만 가능합니다.
- Q. CNAME 대신 A레코드로 연결하면 안 되나요?
- 티스토리는 CNAME만 허용하므로, A레코드(IP 기반)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 Q. SSL 인증이 안 되는 경우 어떻게 하나요?
- 일반적으로 최대 24시간 내 자동으로 적용되며, 이후에도 작동하지 않으면 티스토리 고객센터에 문의해야 합니다.
- Q. 도메인 변경 시 기존 주소는 어떻게 되나요?
- 새 도메인으로 변경 후에는 기존 주소와는 별개로 간주되며, 기존 트래픽은 자동 이전되지 않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플릭스 요금제 및 가입 방법 가이드 (3) | 2025.07.04 |
---|---|
페이오니아 가입 절차 안내 따라 해보세요 (0) | 2025.07.04 |
어도비 구독 해지하는 방법과 팁 (0) | 2025.07.04 |
주거 장학금 240만원 신청 방법 총정리 (2) | 2025.07.03 |
대전 전기차 보조금 신청 방법과 대상 조건 (1) | 2025.07.03 |
댓글